
USB 2.0 시대는 아니고 USB 3.0이 나오고 나서 어느 정도 지나서 알려진 기능(프로토콜)입니다.
요즘은 2.5인치 외장하드를 보면 설명 중에 이 기술을 표시해 놓은 제품이 많죠.

출처 : 다나와 일반 하드디스크나 SSD가 들어있는 외장하드디스크의 설명을 보면 UASP라는 제품이 있습니다.
USB Attached SCSI Protocol의 약자로 UASP 혹은 UAS라고 하는데요.
어렵게 설명하면 이해하기 어려우니까
일반 USB 저장장치가 1차선 도로라면 UASP에 대응하는 저장장치는 2차선 도로이므로 보다 쉽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것입니다.

위쪽이 일반장치 아래쪽이 UASP 지원장치 이론상으로는 70% 더 속도가 빠르다고 하는데, 일단 체감해 보니 자료를 복사하기에는 좀 부드러운 느낌이랄까?
만약에 A라는 자료를 복사하는 중인데 B라는 자료를 복사하면 보통 막히는데, UASP 장치는 좀 원활하게 들어간다는 느낌?
이 UASP 기능을 사용하려면 조건이 필요합니다.
1. 윈도우 8 이상 (애플 OS Mac은 10.8에서, 리눅스는 3.15 커널에서)
2. 컴퓨터 본체의 마더보드 칩셋이 지원해야 한다.(대략 2010년 이후 생산된 마더보드가 지원하기 시작함)
저장장치가 지원해야 한다.
1번부터 체크한다면 본인의 컴퓨터 운영시스템이 윈도우 8 이상이어야 합니다.Windows XP 나 Windows 7 및 비스타에서는 기능이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군요.리눅스에서는 장비를 사용할 수 있는데도 UASP로 인해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오류라면 UASP 기능만 끄면 된다고 합니다) 요즘은 거의 윈도우 10을 사용하고 있어서 문제 없을 것 같습니다.
2번은 본인이 사용하는 컴퓨터로 지원해야 해요.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메인보드 칩셋으로 지원되는 것을 확인해야 하는데 업체에 물어보거나

장비 관리자로 범용 직렬 버스 컨트롤러의 자신의 USB 칩셋을 파악한 후(사진 상에서 C220 UASP) 인터넷에 “C220 UASP”라고 검색하여 지원 여부를 일일이 찾아야 합니다.사실 초보자에게는 상당히 무리한 작업입니다.
3번은 쉬워요.외장하드 제품평을 인터넷에 검색해보면 나오더라고요
이 세 가지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JUASP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윈도는 알겠는데 나머지는 초보자는 어려울 수 있어요
근데 쉽게 확인하는 방법이 있네요
바로 크리스탈 디스크 인포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컴퓨터에 자료를 저장하면 어디로 갈까요? 하드디스크나 USB메모리나 SSD에 저장됩니다, 즉 보조…blog.naver.com외장하드를 컴퓨터에 연결한 후 크리스탈디스크 인포만 실행합니다.


왼쪽이 UASP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인터페이스는 USB로 뜹니다.오른쪽은 UASP를 지원하므로 인터페이스에 UASP로 보여집니다.